![[제공=국립공원공단]](/news/photo/201911/163817_134951_2030.jpg)
가을철 산행 때 옷에 달라붙는 열매를 줄이려면 겉이 촘촘하고 매끈한 등산복을 입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열매를 제거한 후 확산을 막기 위해 반드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가을철 산행 시 옷에 달라붙는 열매에 대해 옷감의 종류별 접착 정도와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실험 정보를 18일 공개했다.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최근 지리산 일대 탐방로에서 쉽게 발견되는 도깨비바늘, 미국가막사리, 쇠무릎, 주름조개풀 등 옷에 달라붙는 식물 4종의 열매로 겉 옷감 소재별 접착정도를 실험했다.
직물의 틈이나 기모가 없는 매끈한 혼용소재의 경우 열매가 거의 달라붙지 않는 반면, 직물의 틈이나 기모가 있고 골이 진 소재의 경우 열매가 옷감에 달라붙는 정도가 평균 90% 이상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진을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람 옷에 달라붙어 열매를 퍼뜨리는 것이, 활동 범위가 다른 동물보다 넓으며 번식하기 유리한 장소에서 열매를 제거하는 등 식물의 번식과 확산에 유리한 이유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변에 식물이 없는 공터 등 넒은 지역에 나와서 열매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산행 후 옷에 붙은 열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참빗이나 꼬리빗을 사용하는 방법과 접착테이프로 붙여 떼어내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 열매를 도로변 등에서 떼어내면 빗물을 따라 강 하구 또는 호수(저수지, 댐) 가장자리로 번식하기 때문에 그 자리에서 떼어 내거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운동화 끈과 양말에도 열매가 잘 붙기 때문에 등산복 바지로 등산화를 덮거나 각반(스패치)를 착용하면 열매가 붙는 것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더불어 진드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강재구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생물종보전원장은 "가을철 산행 시 열매가 잘 붙지 않는 겉옷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