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0 10:36 (월)
고용절벽 현실로... 3월 취업자 19만5000명 줄어 10년래 최대폭 감소
고용절벽 현실로... 3월 취업자 19만5000명 줄어 10년래 최대폭 감소
  • 안강필 기자
  • 승인 2020.04.17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남기 부총리 고용 충격 대비, 고용안정 정책 패키지를 발표 예정

정부 녹실회의에서 심각성 점검... 일시휴직자도 161만명, 역대 최대치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3월 취업자 수가 20095월 이후 최대 감소폭으로 줄어들었다. 이른바 고용 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위기다. 이에 정부는 17일 오전 녹실회의를 통해 비상 상황을 긴급 점검하기 시작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 충격에 대응해 다음 주 초 고용안정 정책 패키지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현실적으로는 코로나19 사태로 휴업·휴직한 경우가 늘면서 지난달 일시휴직자 수가 폭증한 것이 사실이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60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5000명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폭은 20095월의 24만명 이후 최대치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2(492000명 증가)까지만 해도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인 고용 시장이 결국 고용 위기로 빠져드는 양상이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된 고용 사정도 심각하다.

취업자 수에 포함되는 일시휴직자 수가 폭증했다. 사실상 일이 없는 상태다. 지난달 일시 휴직자는 총 160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6만명(363.4%)이나 증가했다. 이 수치는 19837월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5%1년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해 같은 달 기준 2013(58.7%) 이후 7년만에 가장 낮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4%, 1년 전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2016(65.2%)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다.

모든 지표는 고용 절벽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실업자는 118만명으로, 1년 전보다 17000명 줄었고 실업률은 4.2%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692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516000명 늘었다. 이러한 증가폭은 20095(587000) 이후 최대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3월 고용동향에 대해 "코로나19 영향이 대면 접촉하는 업종 중심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대면 접촉 업종이라 함은 주로 서비스 분야로 식당 휴게소 창구 직원과 판촉사원 등을 말한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꺼려 유동 인구가 집객되지 않은 상태라 일시적 자발적 휴업이나 강제적 휴업이 발생하고 있는 탓이다.

 

녹실회의에서 점검... 내주 초 대책 발표키로

정부는 1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녹실(綠室)회의를 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고용시장에 미친 영향을 점검했다.

홍 부총리가 주재한 이날 회의에는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강신욱 통계청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숙박·음식, 도소매, 교육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 일자리가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최근 상황에 대한 엄중한 인식을 바탕으로, 코로나19가 일자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위적 총력 대응 노력을 배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서비스업이 조속히 정상화되도록 방역 노력을 지속해서 강화하는 한편, 실물 부문 전반으로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기업들을 살리고, 일자리와 국민의 삶을 지켜내는 데 주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내주 초 코로나19 고용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관계부처들이 긴밀히 협의해온 고용안정 정책 대응 패키지 대책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패키지 대책에는 고용유지대책, 실업 대책, 긴급일자리·새로운 일자리 창출 대책, 사각지대 근로자 생활 안정 대책 등이 포함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