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1일부터 서울 도심 한양도성 내부가 친환경 버스와 공공자전거, 나눔카 이용이 가장 활발해진다. 또 미세먼지를 내뿜는 차량은 진입 자체가 불가능한 친환경 녹색교통 천국으로 변신한다. 만약 노후 경유차 등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이 옛 서울 한양도성 내부(사대문 안)의 '녹색교통지역'에 진입하면 과태료 25만원이 부과된다.
![[제공=서울시]](/news/photo/201911/164209_135369_1520.jpg)
서울시는 오는 12월 1일부터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 내 공해유발 5등급 차량 운행제한을 본격화한다고 25일 밝혔다.
'녹색교통지역 운행제한'은 도심 내 자동차가 배출하는 미세먼지와 교통량을 줄여 지속가능한 서울교통의 미래를 열기 위한 제도다.
서울시는 최종적으로 녹색교통지역에서 노후 5등급 차량운행이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면 녹색교통지역 내 초미세먼지 배출량을 15.6%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가 지난 7월대비 10월 기준 대기질 개선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일평균 2만3000kg 감소,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일평균 460kg 줄었다. 5등급 차량의 지역별 등록대수도 운행제한 시행 전 전국 247만대에서 11월 현재 218만대로 11.8% 줄었다. 저감장치 장착 차량도 수도권의 경우 5개월 동안 14.4%(2만4686대) 늘어난 성과를 보였다.
서울시는 일부 자동차의 운행제한이 시민 불편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녹색교통지역 내 버스-자전거-나눔카를 아우르는 친환경 녹색교통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
![[제공=서울시]](/news/photo/201911/164209_135368_1458.jpg)
우선 서울역, 시청, 종로 등 도심 주요지점과 명동, 남산, DDP, 고궁 같은 관광지를 모두 연결하는 4개 노선의 '녹색순환버스'를 내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운행한다. '녹색순환버스'는 CNG 차량으로 운영을 시작하고, 녹색교통지역 내 이용객이 많은 지점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최적의 노선 4개(도심외부순환, 도심내부순환, 남산연계, 남산순환)를 운행할 예정이다.
친환경 공유교통인 따릉이와 나눔카의 양적·질적 확대도 모색한다. 녹색교통지역 내 따릉이 운영 규모를 2020년 2400대로 확대한다. 또 500m 마다 도로 위에서 나눔카를 쉽게 대여·반납할 수 있도록 노상 운영지점을 집중 설치한다. 나눔카 사업자별 신차 구입 또는 차량 교체시 전기차량 구매를 유도해 2023년까지 녹색교통지역 내 나눔카를 100% 전기차로 전환한다.
박원순 시장은 "이번 조치로 5등급 노후 차량을 소유한 시민들의 불편함이 예상되지만, 녹색교통지역 운행제한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동시에 한양도성을 자동차가 아닌 사람이 주인인 지역으로 바꾸는 조치"라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