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0 10:36 (월)
경기도 中企연구개발 정부 지원 전국‘최하위’
경기도 中企연구개발 정부 지원 전국‘최하위’
  • 관리자
  • 승인 2013.02.17 22: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中企연구개발 정부 지원 전국‘최하위’
道 “수도권이라는 비과학적 이유로 역차별”

지난 2011년 경기도에서 기술개발 연구비 1억원을 지원받은 (주)코멤텍의 김성철(41) 대표는 주로 의류에 활용되는 특수소재‘고어텍스’의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기술에 도전해 국내 최초로 사업화에 성공했다.

미국, 일본 등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이룬 성과다.

코멤텍은 미국 고어(GORE) 사로부터 수입하던 카트리지 필터와 성능은 같지만, 원가는 30% 이상 저렴한 제품을 독일 켐퍼(KEMPER)사에 수출해 지난해에만 24만 달러(2억6000만원)의 외화벌이를 했다.

김 대표는“기술개발이 시급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도의 지원이 기업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경기도가 이렇게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 힘을 쏟아 성과를 내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지원은 전국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도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낸‘중앙정부 R&D(연구개발)의 경기도 유입특성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현재 도내에는 전국 연구기관의 31%(5486곳), 연구원의 33%(11만4858명)가 몰려있다. 지식기반제조업체(1만3313곳)도 전국의 42%나 된다.

도내 공공과 민간이 들인 연구개발비 역시 전국(43조8548억원)의 42%인 18조3129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정부의 연구개발비 분담률은 10.5%(1조9284억원)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꼴찌였다.

전국 평균 29.7%에 무려 19%p나 못 미치는 것이다.

반면 강원도는 정부 분담률이 110%로 지역 투자를 넘어서 대조를 보였다. 대전도 78.8%나 됐다.

도내 연구원 1인당 정부 투자액도 2000만원으로 전국 최하위였고 도내에 부설 연구소를 둔 중소기업 1곳당 정부 투자액은 9000만원에 그쳐 전국 평균(1억원)도 안됐다.

경기과학기술원 관계자는 “정부가 수도권 집중완화, 지역균형발전 등 비과학 기술적 근거를 들어 비합리적인 차별 현상을 불러오고 있다”며“지역 균형 관점의 배분 논리가 아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수월성 중심의 연구개발 투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민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