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0 10:36 (월)
축산분야 국비 늘리고 제도 개선해야
축산분야 국비 늘리고 제도 개선해야
  • 관리자
  • 승인 2013.04.05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道, 국비지원 확대 및 12개 분야 제도개선 등 대정부 건의

경기도가 FTA 발효와 가축가격 하락, 사료값 상승 등으로 위기에 처한 축산업을 살리기 위해 축산분야 국비 대폭 확대지원과 12개 분야 제도개선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FTA 발효와 사료값 상승 등으로 위기에 처한 축산업을 살리기 위해 경기도가 국비 지원 확대와 제도 개선 등을 정부에 4일 건의했다.

이번 대정부 건의에서 도는 올해 42개 사업 397억원으로 예정된 축산분야 국비지원 규모를 10개 사업 832억원을 추가한 총 52개 사업 1229억원으로 확대해줄 것과 축산현장에서 직간접적으로 피해와 어려움을 주는 제도를 12개 분야로 분류해 개선해줄 것을 요청했다.

국비 추가요청 832억원은 ▲기존의 도 자체사업의 국비지원 전환 4개 사업 84억원 ▲신규 국비지원 3개 사업 68억원 ▲국비지원 확대 3개 사업 680억원 등이다.

도 자체사업 중 국비지원 전환사업은 한우·젖소 개량사업 지원, 지자체 한우씨수소 생산지원, 국내산 우수축산물 학교급식지원, 가축 소모성질병 백신 지원 등 총 4개다.

신규 국비지원 사업은 육우송아지 육성기지 조성, 부화중지란 처리기 지원, 반려동물테마파크 조성 지원사업이다.

또한 가축분뇨처리 지원, 국내산 조사료생산 확충 지원, 신성장동력 말산업 육성 등에 대한 국비지원 확대도 요청됐다.

경기도는 올해 42개 사업 397억원으로 예정된 축산분야 국비지원 규모를 10개 사업 832억원을 추가한 총 52개 사업 1229억원으로 확대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 (클릭시 큰 이미지 보기)
◇ 경기도는 올해 42개 사업 397억원으로 예정된 축산분야 국비지원 규모를 10개 사업 832억원을 추가한 총 52개 사업 1229억원으로 확대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제도개선 건의 내용은 ▲지방재정 악화에 따른 국비지원 확대 ▲육우송아지 육성기지 조성 ▲정책자금 융자금 상환연장 및 금리인하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지원 ▲무허가축사 개선대책 ▲소모성가축질병 백신 지원 등 12개 분야에 대한 개선사항이다.

축산 농가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축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사료값 상승 불안심리가 겹치는 등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말 한·육우 사육두수는 전국 306만두에 달해 적정 사육두수인 250만두보다 56만두를 초과했으며, 돼지는 전년대비 21%, 육계는 전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가격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3월 기준으로 한우(큰수소, 600kg)는 1마리 465만원으로 생산비(569만원) 아래로, 돼지(비육돈, 110kg)는 1마리 22만원으로 생산비(31만원) 아래로 하락했다. 육계(1.5kg)는 1마리 3150원으로 생산비(2700원)보다 높게 형성됐다.

특히, 한우의 경우 사육두수와 수입의 증가로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소비부진 시에는 마리당 가격이 400만원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도 축산분야는 20011년 한·EU FTA에 이어 지난해 한·미 FTA가 발효되면서 매년 평균 1170억원의 생산액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FTA로 인한 농산물 피해액은 1359억원으로 이 중 80% 이상을 축산물이 차지해 축산 농가들의 어려움은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경기도는 FTA대책으로 2016년까지 축종별 생산성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지난해 41개 사업에 2106억원, 올해 2101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특히,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축사시설현대화 사업비의 10%를 도비로 추가 보조해 주고 있다.

도는 FTA 대책으로 2016년까지 축종별 생산성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지난해 41개 사업에 2106억원, 올해 2101억원을 투입한다. - (클릭시 큰 이미지 보기)
◇ 도는 FTA 대책으로 2016년까지 축종별 생산성 향상 목표를 설정하고 지난해 41개 사업에 2106억원, 올해 2101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2011년 구제역 피해농가에 경영자금으로 지원된 경기도 농업발전기금 융자금 상환기간이 도래된 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20억원을 긴급 투입해 상환기간 2년 연장 조치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는 축산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예산 추가지원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경기침체 여파로 도세의 60%를 차지하는 부동산 취‧등록세가 감소해 도비예산 추가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이번에 중앙정부에 국비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대정부 건의서를 제출하게 됐다.

박춘배 도 축산산림국장은 “현재 축산분야는 FTA 발효, 가축가격 하락 및 사료값 상승 등 위기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경기도에서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 있지만, 위기상황 조기극복과 개방화 시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축산농가는 솔선해 사육두수 감축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영을 개선해야 하고, 소비자도 축산농가 어려움을 헤아려 품질 좋고 맛도 좋은 우리 축산물을 많이 이용해 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양미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