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4-20 10:36 (월)
김문수 경기지사 민족화해상 받고 5가지 경기도 통일정책 밝혀
김문수 경기지사 민족화해상 받고 5가지 경기도 통일정책 밝혀
  • 관리자
  • 승인 2012.12.11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문수 지사는 민족화해상을 수상한 이후 인사말에서 “북한 지원은 남한을 위한 것!”이라며 5가지 경기도 통일정책을 밝혔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10일 오전 11시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선정한 ‘제10회 민족화해상’을 수상했다.

민족화해상은 민화협이 2003년부터 남북화해와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해 온 개인 또는 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민족화해상 심사위원회 이윤구 위원장은 선정 이유에 대해 “경기도가 2002년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시작한 이래 지난 10년간 지자체 남북 교류협력사업에서 선도적이고 모범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단순 물자 지원에서 탈피해 북한이 스스로 자립하도록 농촌 현대화 사업, 축산개발지원 사업, 산림녹화사업 등 대북지원사업을 한 단계 발전시켜 개발지원 성격의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왔다”며 “특히 5·24 조치로 남북간 물자교역과 방북이 중단된 2010년 이후에도 남북 공동의 말라리아 방역사업을 통해 접경지역의 발병률을 크게 낮추는 등 남북 주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협력사업을 추진해 왔다”고 말했다.

민화협 김덕룡 대표상임의장은 인사말에서 “김문수 지사와 경기도남북협력담당관의 노고가 오늘의 영광을 만들었다”며 “앞으로 경기도가 남북통일의 물꼬를 트는 데 최선봉의 지자체로 앞장서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문수 지사는 시상식 이후 가진 인사말에서 ‘아무런 죄 없이 나누어진’ 한반도의 평화적인 남북통일을 위한 경기도의 다섯 가지 추진정책을 밝혔다.

김 지사는 “북한에 말라리아·결핵 등 인도적인 지원을 계속 추진하고, 임진강과 한강의 관리를 남북이 공동으로 해야 하며, 대표적인 성공사업인 개성공단사업을 확대하고, 중앙 정부의 독점이 아닌 통일의 지방자치화가 필요하고, 통일을 위해 국제적인 조직과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지사는 “이 모든 정책은 북한만을 위한 것이 아닌 남한에게도 도움이 되는 것”이라며 “북한의 말라리아 때문에 경기도민이 감염되고, 임진강에 둑이 없어 홍수 때는 경기도가 피해를 입는다”고 부연 설명했다.

경기도는 2002년 북한에 경운기, 축구공 등 물품을 지원하면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10년간 호혜와 협력의 원칙, 일회성 지원이 아닌 자립 기반을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 원칙으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지속해 왔다.

농업협력과 농촌현대화사업, 양묘장 조성사업, 남북 말라리아 공동방역사업과 북한 영유아를 비롯한 취약계층 지원 사업 등 북한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인도적 협력 사업을 추진해 왔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체계적 정착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현재까지 30명의 북한 출신 공무원을 채용한 데다 최근에는 국내 최초의 일반직공무원도 채용했다.

2011년에는 남북관계 경색에도 말라리아 방역사업에 인천시의 참여 협조를 이끌어 내는 등 지자체 협력의 모델을 제시했다. 2007년부터 북한의 황폐화된 산림 복원을 위해 현대화된 양묘장 조성을 지원하는 등 북한 주민들에게 실질적 혜택을 주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도는 내년 남북교류협력사업 예산을 올해보다 7억원 증액한 67억원으로 편성하고, 다양한 인도적 남북상생 협력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민족화해상은 2003년 제정된 이래 이현숙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대표가 1회 수상자로 선정된 데 이어 그동안 강만길 고려대 명예교수, 한완상 대한적십자사 총재,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법륜스님,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월드비전 등이 수상했다.

양미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